라벨이 #딕셔너리인 게시물 표시

[파이썬] #12 - pandas 다루기 - 엑셀

[파이썬] #12 - pandas 다루기 - 엑셀 엑셀 모듈 설치 # pip install xlrd xlwt # pip install openpyxl #pandas 모듈을 활용한 엑셀 파일 로딩처리 #pandas 모듈의 read_excel 함수 #read_excel(엑셀파일명, sheetname='읽어올 sheet이름') # -sheetname 생략할경우 첫번째 시트를 선택 # - header 매개변수로 수정가능. # - nrows 몇개의 row를 가지고올지지정 # - index_col 인덱스번호설정 # - isin 메소드 사용 #pandas DataFrame 의 iloc 메소드 #iloc[행의정보(시작인덱스:종료인덱스), [열의정보]] # -*- coding: utf-8 -*- """ Created on Tue Dec 10 19:39:07 2019 # 엑셀 파일 Read, Write 모듈 설치(파이썬) # pip install xlrd xlwt # pip install openpyxl 아나콘다에서 설치할때 #conda install xlrd xlwt #conda install openpyxl """ import pandas as pd input_file = './data/sales_2013.xlsx' #pandas 모듈을 활용한 엑셀 파일 로딩처리 #pandas 모듈의 read_excel 함수 #read_excel(엑셀파일명, sheetname='읽어올 sheet이름') # -sheetname 생략할경우 첫번째 시트를 선택 sales = pd.read_excel(input_file) print(sales) print(sales.info()) #DataFrame 저장된 정보를 엑셀파일로 출력 output_file = './data/sales_2013_temp.xlsx' #엑셀파일로 출력할수 있는 객체 생...

[파이썬] #11 - pandas 다루기 - 기본

 [파이썬] #11 - pandas 다루기 """ Created on Mon Dec 9 20:13:36 2019 pandas 는 데이터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패키지 데이터의 간단한 통계 정보 및 시각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제공 - 손쉬운 파일 입출력 - 다양한 파일 포맷 지원 #pip install pandas #conda install pandas """ import pandas as pd #pandas의 데이터 저장구조 # 1차원 : Series # 2차원 : DataFrame # 3차원 : Panel series_data = list(range(1,10,2)) s = pd.Series(series_data) print(f'type(s) -> {type(s)}') print(s) """ Created on Mon Dec 9 20:38:09 2019 """ #DataFrame 생성을 위한 딕셔너리 변수의 선언 #{키1 : 값1, .....} import pandas as pd data = { 'year' : [2017,2018,2019,2020], 'GDP Rate' : [1.8,3.1,3.0,None], 'GDP' : ['1.637M', '1.859M', '2.237M',None] } #딕셔러니 변수를 사용하여 DataFrame 객체 생성, # 각키의 값들은 동일한 개수 # 해당위치에 데이터가 없는경우 결측데이터(NaN) 이 대입. df = pd.DataFrame(data) print(f'type(df) -> {type(df)}') print(df) # -*- coding: utf-8 -*- #DataFrame 생성을 위한 딕셔...

[파이썬] #10 - csv 다루기

[파이썬] #10 - csv 다루기 import csv count = 3 scores = [] for i in range(1, count+1): scores.append(int(input(f"{i}번째 성적:"))) fname = './data/file_08.txt' # newline 옵션 # 개행 문자를 처리하기 위한 옵션 값 # 개행 문자를 newline 매개변수에 전달된 값으로 # 대체해서 출력할 수 있는 옵션 # w, a 모드에 사용 #with을 사용하면 close 안써도된다. with open(fname, 'a', newline='') as output : csv_writer = csv.writer(output) csv_writer.writerow(scores) import csv input_file_name= './data/file_08.txt' with open(input_file_name, 'r') as input_file : #파일을 읽을 수 있는 객체를 사용 # csv 모듈의 reader 객체 생성 reader = csv.reader(input_file) count = 0 for scores_row in reader : count += 1 #scores_row : 100,90,85 -> [100,90,85] print(f"{count}번째 학생 성적 : {scores_row}") import csv input_file_name = './data/file_10.csv' with open(input_file_name, 'r') as input_file : reader = csv.reader(input_file, delimiter=',') #enumera...

[파이썬] #9 - file 다루기

 [파이썬] #9 - file 다루기 #파일처리 #open함수 #open(파일명, 모드[encoding, newline..]) #open 함수의 두번째 매개변수를 w 로 두면 쓰기모드로 동작하여 파일생성, 기존생성된 파일은 삭제되낟. open('./data/file_01.txt', 'w') #파일에 내용추가 output_filename = "./data/file_02.txt" output = open(output_filename, 'w') output.write('파일내용작성ㅎㅎㅎ') #파일 시스템 리소스 접근경우 반드시 close메소드호출필요 output = open(output_filename, 'r') #파일 읽기 fileData = output.read() print(fileData) output.close() #구구단 출력 fname = "./data/file_04.txt" output = open(fname, 'w') output_data = [] for dan in range(2,10) : output_data.append(f"{dan}을 출력합니다") for mul in range(1, 10) : output_data.append(f"{dan} X {mul} = {dan*mul}") output.writelines(map(lambda line : line + '\n', output_data)) output = open(fname, 'r') lines = output.readlines() # input_data 리스트 변수를 map 함수를 사용하여 # 각 리스트 내부의 값들에 포함된 개행문자를 # 제거하세요. lines = map(lambda x : str(x).rstrip() , lines) for l...

[파이썬] #8 - 제어문 if 문

이미지
[파이썬] #8 - 제어문 if 문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조건에 맞는 상황을 수행하는 데 쓴다. if ~ else / if ~ elif ~ else 로 사용한다. 들여쓰기로 블록문을 나타낸다. # -*- coding: utf-8 -*- """ Created on Mon Nov 25 20:05:23 2019 """ #if 제어문 - 들여쓰기로 사용한다. #프로그래밍에서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조건에 맞는 상황을 수행하는 데 쓰는 것 #주민번호 에서 성별을 출력하세요. jumin = "901212-1033987" result = jumin.split("-")[1][0] if int(result) % 2 == 1 : print("남자") if int(result) % 2 == 0 : print("여자") #input 함수 # 기본입력(키보드)를 처리할 수 있는 함수 # 변수명 = input("message") # '문자열'로 변수에 대입 number = input('숫자를 입력하세요:') print(f'입력된숫자는 {number}입니다') print(type(number)) # if ~ else 조건문 if int(number) % 2 == 1 : print("홀수") else : print("짝수") #사용자에게 주민번호 7번째 자리수를 입력받아 성별을 출력하는 코드작성 jumin = int(input("주민번호 7번째 자리수 입력 : ")) if jumin % 2 == 0 : print("여자입니다.") else : print("남자입니다.") #3과목 성적을 입력받아 총점,평균, 등급출력 90이상 A 80이상 B num1 = int(input(...

[파이썬] #7- SET

이미지
 [파이썬] #7- SET set 타입의 데이터 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자료형  순서를 유지하지 않음 # -*- coding: utf-8 -*- """ Created on Thu Nov 21 22:00:02 2019 @author: ZZZPANDA """ #set 타입의 데이터 #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자료형 #순서를 유지하지 않음 #변수선언 set([데이터1, 데이터2, 데이터3 ...]) numbers = set([1,2,3,4,5]) print(type(numbers)) print(numbers) numbers = set([1,1,2,2,3,3,4,4,5]) #중복된 데이터가 제거된다. print(type(numbers)) print(numbers) #문자열을 넣어도 중복된 데이터는 삭제된다. msg = set("Hello World") print(msg) # list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임 msg = list(msg) print(msg[0]) #파이썬의 set타입에만 있는 기능 합집합(|),교집합(&),차집합(-)찾기 number_2 = set([2,4,6,8,10,12]) number_3 = set([3,6,9,12]) print(number_2 & number_3) #교집합 intersection print(number_2 | number_3) #합집합(중복제거) union print(number_2 - number_3) #차집합 difference print(number_3 - number_2) #차집합 difference # set 타입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법 # add 메소드 (1개의 데이터 입력시 사용) numbers.add(100) print(numbers) # update 메소드(여러개의 데이터 입력) numbers.update([15,16,20]) print(len(number...

[파이썬] #6- 딕셔너리(Dictionary)

이미지
 [파이썬] #6- 딕셔너리(Dictionary) 딕셔너리 타입은 immutable한 키(key)와 mutable한 값(value)으로 맵핑되어 있는 순서가 없는 집합. {key : value} 형태로사용 # dictionary 타입 변수는 Key:Value 형태 # 내부에 저장된 key 값은 중복이 허용되지 않는다. # {key : value} dict_1 = { 'name' : 'python', 'version' : 3.6, } print('dic_1 : {}'.format(dict_1)) print('dic_1[\'name\'] : {}'.format(dict_1['name'])) print('dic_1[\'version\'] : {}'.format(dict_1['version'])) # 추가 dict_1['date'] = '2019-11-21' dict_1['list'] = [1,2,3,4,5] #리스트도 가능. # 값 변경 # 이미존재하는 키 값은 추가되지 않고 해당 키의 값을 수정 dict_1['version'] = 3.7 # dictionary 변수 내부의 데이터 삭제 del dict_1['name'] print(dict_1) # dictionary 변수의 clear 메소드 - 전체데이터삭제 dict_1.clear() print(dict_1) dict_numbers = {'one': 1, 'two' : 2, 'three' : 3, 'four' : 4, 'five' : 5} #dict_numbers 에 저당된 요소의 개수확인 c = len(dict_numbers) # key...